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서양철학 (6)ㅡ 과학철학과 언어철학

by riona 2024. 5. 3.

 과학 철학이란 ?

그 지식과 그 기초에 대한 철학적 탐구를 다루고 있는 분야로 과학의 본질과 과학 지식의 한계와 의미에 대한 질문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과학 철학은 다양한 철학적 입장과 이론을 통해 이런 주제들을 탐구하며 과학적 지식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과학 철학적 개념은 이렇습니다. 

 

논리적 실증주의:  논리적 실증주의를 러셀과 화이트헤드의 연구에 의해 시작되었고 형이상학적과  윤리적 그리고 신학적  논의가 이론적으로 논리적이거나 경험적으로 검증할수 없다면 무의미하다고 주장을 하고 과학적 지식은 논리적으로 검증 가능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경험주의: 모리츠 슈릭과 루돌프 카납은 과학이 직접 관찰에 기반한다고 주장을 했습니다. 하지만 오토 노이라스는 관찰에도 이론이 필요하다고 지적을 했습니다 결국 경험주의는 경험을 통해서 얻어지는 지식을 얻는것을 강조합니다.

위조주의: 칼 포너는 검증주의가 논리적으로는  일관성이 없다고 비판을 하면서 과학의 기초로서 위조 가능성을 중요시했습니다. 즉 과학적 이론은 반드시 검증 가능하고 그 반대로  반증( 모순되는 걸 증명하는 것) 가능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과학적 패러다임: 토마스 쿤은 과학이 패러다임에 의해 구성되며 증거가 축적됨에 따라 변화한다고 주장을했습니다. 과학은 특정 시기에 특정 이론과 방법론을 따르는 패러가임 안에서 진행되며 이 패러다임이 변화하면 과학적 지식도 변화합니다.

이러한 철학적 입장들은 과학적 지식의 본질과 발전에 대한 깊은 이해를 제공하며 과학자들과 철학자들이 지금도 고민하는 분야입니다.

 

 

언어철학의 개요

보통의 언어가 철학적인 문제를 해셜할수 있다는 생각을 처음으로 꺼냈고 완만하게 관련된 철학자 그룹은 나중에 일반적인 언어 철학의 실천자로 알려져있는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은 20세기를 대표하는 철학자중 한분으로 그의 철학은 수학 철학과 심리 철학 그리고 논리학과 언어 철학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는 논리 실증주의와 일상 언어 철학에 큰 기여를 했으며 분석 철학의 중요한 인물로 알려져 있고 그의 철학은 크게 두가지로 나눠집니다.

전기: '논리-철학 논고' 에서는 언어와 세계의 관계를 탐구하며 언어의 한계가 곧 세계의 한계라고 주장을했습니다.

후기: '철학적 탐구' 에서는  언어 게임의 개념을 통해 자연 언어의 다양성과 그 안에서의 의미를 탐구했습니다.

 

언어의 사용과 그 구조를 통해 우리가 세계를 어떻게 인식하고 이해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논의를 이끌었습니다.

그의 관점은 후기 철학에서 더욱 발전되었으며 일상 언어 철학과 분석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사상은 인문학과  사회 과학의 여러 방면에 영향을 주었고 예술가들에게도 전파되었습니다. 그의 철학은 단순히 이론적 탐구에 그치지 않고 삶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며 언어와 사고, 현실을 이해하는 방식을 우리가 이해하고 경험하는 방식에 깊은 통찰을 제공하고있습니다.

 

길버트 라일, J.L. 오스틴, R.M. 헤어, P.F. 스트로슨이 포함되어 있고 철학은 과학이 아니기 때문에 관찰이나 실험이 아닌 신중하게 객관적 명확화와 연결을 통해서만 발전할수다고 그들은 믿었고 형이상학적 대이론의 회의론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비트겐슈다인과는 다르게 그들의 철학의 몇가지 문제만이 언어의 산물이라고 믿었습니다..

언어적 전환: 분석 철학에서 언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일부철학 문제가 언어의 산물이라는 믿음을 설명합니다.

범주 오류: 라일은 개념을  잘못된 맥락에서 사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이 개념을 도입했으며 데카르의 '기계 속의 유령' 비유해 비판했습니다.

언어행위: 오스팀은 언어가 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를 수행할 수 있다는 통찰을 제공하며 이 아이디어는 존 살에 의해 나중에 채택되었습니다.

 

 

20세기의 마지막 3분의 1 동안 언어 철학은 독립적인 분야로 부상했으며 의미에 대한 이론이 그 중심이 되었습니다. 도널드 데이비드슨은 의미를 진리조건을 통해 이해할수 있다고 주장을 했는데 이는 알프레드 타르스키의 작업을 기반으로 합니다. 데이비드슨은 다른 언어의 단어들이 그 단어들이 참인것과 연결되므로써 그 의미를 찾을것이라고 경험적으로 주장을 했습니다.  따라서 의미는 화자의 행동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합의에 의해서 시작됩니다.

마이클 던넷은 이러한현실주의적 접근에 반대를 했는데 그 이유는 현실주의는 많은 문장들의 진실성을 측정할수 없기 때문엡니다. 그는 대신 진리가 증명될때 그것을 인식할수 있다는 생각을 중심으로 검증 가능성을 주장했습니다.

이와 대조적으로 폴 그라이스는 의미가 화자의 의도에 기반하고 있으며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반복적인 사용을 통해 확립된다고주장을 했습니다.

 

 

서양 철학 특히 과학 철학과 언어철학과 참조 이론에 대한 중요한 개념과 철학자들의 기여도를 요약을 하겠습니다.

참조 이론: 이름이 실제로 가리키는 대상에 연결되어 있어 결정된다고 주장하는 이론입니다.

철학자들의 기여: 프레지와  러셀이 참조 이론의 초기 개념을 제시했으며 기술이 틀려도 올바른 참조가 가능하다고 주장하며 참조는 사용의 역사에 기반한다고 봅니다.

도넬런과 크립키: 사용의 역사에 기반하며 기술이 틀려도 올바른 참조가 가능하다고 주장을 합니다.

언어 철학의 분기: 20세기 말에 언어 철학은 마음의 철학과 언어학적 연구로 나눠지기 시작했습니다.